상표권이전등록청구권 소멸시효

법률사무소 소담

– Lawyer’s Column

 

상표권 이전약정에 따라 상표이전등록을 청구할 권리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이미 그 상표를 실제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만으로는 상표권이전등록청구권의 소멸시효가 진행되지 아니한다고 볼 수 없습니다.

– 상표권 또는 서비스표권의 양도에는 권리에 관한 이전등록으로 족한 점(상표법 제56조 제1항 제1호)

– 상표권 매매 기타 그 양도의무 발생의 원인이 되는 계약으로부터 통상 부동산 매매에서의 목적물인도의무와 같은 의무가 발생하지 아니하여 매도인 등 상표권양도의무자가 상표권의 이전등록 외에 적극적으로 하여야 할 주된 급부의 의무를 상정하기 어려운 점

– 나아가 오늘날 상표권 양도 거래의 실제 양태 

등의 이유가 있습니다.

 

나아가 그가 상표를 당해 상표권의 지정상품에 사용하여 주지상표가 되는 등으로 별도의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 보호를 위하여 이전등록의무자의 시효소멸 주장이 일정한 범위에서 제한되어야 하는가 하는 것은 위와 같은 법적 보호의 내용 또는 성질 등에 의하여 정하여질 문제로서, 상표 사용에 의한 소멸시효 진행의 저지 여부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고 할 것입니다.

 

실제로 대법원은 자신의 업무를 원고에게 위탁하고 그 사업 전반을 이관하는 내용의 협정을 체결하면서 그에 부속하여 각 상표권 및 서비스표권을 무상으로 이관하기로 하는 등 세부 사항을 정한 합의해놓고 상표권 및 서비스표권을 이전하지 않은 피고에게 원고가 상표권 및 서비스표권 이전 청구를 한 사건에서, 원고가 상표권 등을 사용하고 있으면서 이전청구를 하지 않아 자신의 이행의무가 5년의 상사소멸시효기간이 경과함으로써 소멸하였다는 피고의 주장을 받아들였습니다.

 


저희 소담은 의뢰인의 디자인권, 상표권, 특허권 등 소중한 지적재산권을 지키고 부정경쟁행위로부터 의뢰인들이 부당함을 당하지 않도록 변리사와 변호사가 함께 특허상담 및 법률자문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특허법률사무소입니다.  

다른칼럼 보기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 제1호 카목

  2013. 7. 30. 법률 제11963호로 개정된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 제1호 (차)목은 대법원 2010. 8. 25.자 2008마1541 결정의 취지를 반영하여 "그 밖에 타인의 상당한 투자나 노력으로 만들어진 성과 등을 공정한 상거래 관행이나 경쟁질서에 반하는 방법으로 자신의 영업을 위하여 무단으로 사용함으로써 타인의 경제적 이익을 침해하는 행위"를 부정경쟁행위의 하나로 추가하였고, 2018. 4. 1. 법률 제15580호로 개정된 부정경쟁방지법에서 위...

read more

상품 형태가 상품표지로 보호받기 위한 요건

  상품의 형태는 디자인권이나 특허권 등에 의하여 보호되지 않는 한 원칙적으로 이를 모방하여 제작하는 것이 허용됩니다.    다만 예외적으로 어떤 상품의 형태가 2차적으로 출처표시기능을 가지고 나아가 주지성까지 획득하는 경우에는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 (가)목에 규정된 ‘국내에 널리 인식된 타인의 상품임을 표시한 표지’에 해당하여 같은 법에 의한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때 상품의 형태가...

read more

상표권 침해_상표권의 효력

상표법 제50조에서는 상표권자는 지정상품에 관하여 그 등록상표를 사용할 권리를 독점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상표법에서는 상표권자의 독점적 사용권이 실질적으로 확보될 수 있도록 등록상표와 동일한 범위 뿐만 아니라 유사한 범위에 속하는 타인의 사용에 대하여도 상표권의 침해로 보고 있습니다. 상표권의 존속기간은 상표권의 설정등록이 있는 날로부터 10년입니다. 그렇지만 상표권은 특허권 등과는 달리 영속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표권의 존속기간은 존속기간 갱신등록 절차에...

read more